건강검진 청력 이상 발견 시 신청 가능한 지원 제도 총정리
건강검진에서 ‘청력 이상’ 판정을 받았다면,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청력 복지제도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순 이상 소견도 이비인후과 진료 및 추가 검사로 연결되며, 보청기 지원, 장애등록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키워드: 청력검진 결과, 건강검진 청력 이상, 보청기 지원, 장애등록, 복지 신청 절차
아래버튼을 통해 내용 확인
국가건강검진(일반검진) 또는 직장검진에서 청력 이상 판정을 받았을 경우, 아래와 같은 절차를 통해 청력 관련 지원제도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 검진 결과 ‘청력 이상’ 판정
- 이비인후과 연계 진료 및 순음청력검사·어음청력검사 실시
- 난청 진단 및 소견서·처방전 발급
- 장애등급 기준 충족 시 등록 + 보청기 지원 신청
제도명 | 신청 조건 | 주요 혜택 |
---|---|---|
청각장애 등록 | 청력 손실 기준 충족 시 | 복지카드, 감면 혜택, 보조기기 신청 가능 |
보청기 급여제도 | 청각장애 등록자 | 최대 131만 원 보조금 지급 |
보건소 청력검사 및 대여사업 | 장애 미등록자도 가능 | 청력검사 지원, 보청기 대여 |
기초생활수급자 의료비 감면 | 수급자 증명 시 | 진료비·검사비·기기비용 일부 또는 전액 지원 |
신청 전 유의사항
- 보청기 지원은 장애등록 이후만 가능
- 건강검진 결과는 참고자료이며, 진단서 발급을 위한 전문 검사 필요
- 복지연계 여부는 소득·연령·의학적 기준에 따라 다름
청력 이상은 무시하면 진행성 난청으로 이어질 수 있어, 초기 발견 시 국가제도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